“학생들의 교사에 대한 반항, 무시, 교권 하락, 교사의 자살, 학교 내신의 필요성 외에 등교의 이유가 없어 학원수업과 과제에 지쳐 교실 수업에 잠만 자거나...”

 

 

병리적 교육환경에 필요한 교육심리상담 처방책: 독서테라피 (Bibliotherapy)

망국(亡國)과 전쟁의 폐허에서 전 세계가 놀랄 한강의 기적을 이룬 초고속 성장의 대한민국은 OECD 1위의 대학 진학률을 자랑하는 대한민국 교육열의 국제적인 명성과 폐해를 함께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초고속 성장과 성취로 외연을 갖춘 교육 한국의 구성원들은 그동안 어떠한 모습과 실태로 성장하고 성숙해 왔는가?

학생들의 교사에 대한 반항, 무시, 교권 하락, 교사의 자살, 학교 내신의 필요성 외에 등교의 이유가 없어 학원수업과 과제에 지쳐 교실 수업에 잠만 자거나 자신보다 약한 또래를 무참히 괴롭히며 자기 존재감을 확인하며 살아가는 병리적 현상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청소년 자살률 세계 1위를 지속해오고 있다.

이에 대한 현상을 잘 묘사하고 있는 그림책을 통해 집단괴롭힘(이지메)의 병리적 교육환경에 필요한 교육처방책인 독서테라피를 소개하고자 한다.

<모르는 척> 우메다 슌사쿠 그림, 길벗어린이, 1998.

일본의 한 중학교에 패거리들이 돈짱의 돈을 뺏고 도둑질 혐의를 씌우고 운동장에서 이상한 춤을 추게 하고 여학생들 앞에서 바지를 벗기는 악한 일을 하는 것을 자신에게 피해가 올까 봐 덜렁이와 또래들은 또래의 집단 폭력에 대해 모르는 척하며 지내며 괴로워하다가 학년말 모든 사실을 폭로하게 된다. 그러나 돈짱은 이미 학교를 떠나 전학을 가버렸다. 이 그림책에서는 다음의 피해자는 과연 누구인지, 담임교사, 학교는 과연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루게 되며 가해자와 피해자들에게 무슨 조치를 하게 될까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독서테라피는 고대부터 현재까지 지속되어온 인간 내면의 심리치료법이다. 독자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전문가가 대상자의 주 호소 문제를 잘 진단하여 처방한 책을 함께 읽으며 주인공의 이야기에 몰입하며 자신의 문제해결을 위해 주인공의 문제해결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며 치료주체자로서 독자의 잠재적 능력을 발견하도록 지원하고 스스로 문제해결을 돕는 독자 중심의 독서 및 독후 치료적 발문과 치료 주제를 강화하기 위한 관련 활동을 통해 치료 경험을 스스로 갖고 자신의 건강한 자아상 회복, 자존감 증진, 대인관계기술과 대처기술 습득, 더 나은 현실 개발 등의 결과로 이어지도록 지원하는 예술치료적 심리상담기법이요 영역이다.

하인즈와 하인즈베리(Hynes & Hynes-Berry)4단계 독후발문을 활용하여 독자가 읽은 책에 대해 내면 깊숙이 자신에게 강하게 전달해오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살펴보기(본문이 자신에게 주는 메시지 인식), 줄거리에 대한 이해질문(6하원칙대로 질문해보기), 주인공의 문제해결과 맞먹는 나만의 문제해결 방법 찾기(병치질문), 주인공의 이야기, 상황 등을 내게 적용해보기(적용질문)을 통해 자신의 문제 직면, 문제에 대한 인식과 통찰, 자기문제의 해결 주체자로서의 새로운 발견과 경험, 자신과 그룹원의 문제 공유를 통해 공감대 형성과 대인관계의 신뢰감 형성, 타인의 관점에서 자신의 문제에 대한 객관적 통찰 등을 통해 자신의 문제의 진정한 해결자, 치료의 주체자는 자신임을 발견하고 알아가는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여정이다.

혼자 가면 외롭지만 그 길을 먼저 간 리더(독서테라피 전문가)와 그 여정의 동반자로 공감과 수용, 인정과 칭찬, 격려를 실어주는 그룹원들과의 상호소통을 통해 더욱 힘을 얻게 된다. 예정된 목표회기를 마치고 자신의 성장과 성숙을 기념하는 그 순간에 동반자들과의 상호성장과 성국은 모두의 기쁨이며 인생이 살만한 가치가 있음을 서로 확인하는 새로운 출발의 도약점이 될 수 있다.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