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 1천 3백만 원은 우리나라의 존망에 직결된 것입니다. 이것을 갚으면 나라가 보존되고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함은 필연적인 사실이나...”









국채 보상 운동(國債報償運動)은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시키고자 제공한 차관(借款) 1,300만 원을 국민들이 갚고자 한 운동으로, 김광제, 서상돈 등이 제안하였다. 1907년 2월 경상북도 대구에 있는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을 중심으로 해서 김광제, 서상돈, 윤필오 등에 의해 처음 시작되어 전국으로 번져나갔다. 그러나 조선통감부가 대한매일신보 창간자인 베델(Bethell)이 모금액 중 2만 원을 사적으로 투자했다가 원금을 받지 못했다는 괴소문을 퍼뜨리는 등 방해를 일삼으면서 운동은 소멸되고 말았다. (이상 원문 : 위키백과. 그림 : 전혁진의 역사 새로 읽기, 시사N라이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최은석(국민의힘) 의원실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2025년 8월) 말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한국 국채 보유액은 138조 7,860억 원으로 유럽(109조 원), 미주(27조 원), 중동(14조 원)보다 훨씬 많다. 아시아 국가의 한국 국채 보유액은 2021년 말 대비 38조 원 증가해 미주 증가액(7조 원)의 5배를 넘었다. 아시아 국가들의 한국 국채 투자액 급증은 주로 중국 변수 때문이다.
지난 10년 동안 아시아 국가 중 중국은 한국 국채를 꾸준히 늘려오며 보유 국가 순위에서 1위를 놓친 적이 없다. 그 결과 현재 2위인 미국과 보유액에서 2배 이상으로 격차를 벌린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미국과 무역 전쟁이 진행된 지난 10여 년간 미 국채를 매각하고 투자처를 다변화했다. 한국은 코로나 시기에도 국채 수익률 연 3% 안팎(10년 만기 기준)을 유지해 금리가 낮은 유럽·일본 등에 비해 매력적인 투자처로 중국의 시선을 끌었다.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한국 국채 보유액 138조 7,860억 원 중 중국의 한국 국채 보유액을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황이지만, 최저 30조 원에서 최대 100조 원 이상이라는 언론인도 있다. 2016년 2월 말 기준 중국의 한국 국채 보유액이 17조 5,090억 원이라는 통계 이후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없는 실정이지만, 만약 중국의 한국 국채 보유액이 50조 원이라면 5,115만 명 우리 국민이 각자 98만 원의 국채를 중국에 갚아야 한다는 뜻이다. 나아가 중국의 한국 국채 보유액 50조 원에 국채 수익률 연 3%를 적용하면 매년 1조 5천억 원이 한국에서 중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 원문 : 2025.09.29. 조선일보. 그림 : 조선일보, 한국경제)

1907년 2월 21일 발표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에서도 국채를 갚으면 나라가 보존되고,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함은 필연적인 사실이라고 했다. 국채보상운동 취지서가 발표된 후 3년 6개월 만인 1910년 8월 29일 조선은 주권을 잃고,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중국이 한국을 흡수하려는 의도는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니지만, 공공연한 사실로 인식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비밀리에 수많은 인민들을 세뇌(洗腦)하여 한국을 흡수하려는 전략을 소프트 파워(soft power) 전쟁의 형식으로 수행하고 있다. 지금이야말로 우리 국민이 국채보상운동을 하는 절박한 심정으로 달러를 절약하는 한편, 한국에 대한 중국의 경제적 침투를 적극적으로 견제하면서 중국이 보유한 한국 국채를 줄이는 데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그림 : 2025.09.29. 조선일보)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