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2017년 교육을 ‘더불어숲 교육’이라 칭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주요업무계획을 4일 오전 발표했다.

‘더불어숲 교육’은 교육청이 그간 추진해온 ‘혁신미래교육’의 지평을 넓혀가기 위한 개념으로 ▲서울학생 미래역량 강화 ▲학교자율운영체제 구축 ▲교육 불평등과 교육 격차의 해소 ▲민·관협치 구현 ▲청렴교육문화 조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서울학생 미래역량 강화

조희연 교육감은 ‘서울학생 미래역량 강화’를 핵심 과제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미래교육 상상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학교와 마을이 함께 인공지능 시대에 적합한 학교체제 변화, 새로운 교육방법 구상, 교육 환경 조성, 행정혁신 등을 구상하고 구체화해 서울미래교육의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모든 학생이 ‘기획-연습-발표’할 수 있도록 중학교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협력종합예술활동’도 실시해 협력적 인성과 창의성을 기를 예정이다.

■학교자율운영체제 구축

학교자치시대를 맞이해 ‘학교자율운영체제’ 구축에도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우선 ‘서울형혁신학교’를 심화·확산하고, ‘공모사업 학교선택제’ 대상 사업을 작년 11개에서 31개로 대폭 확대 운영키로 했다.

교육공동체의 자율성을 확대하기 위해선 학생회 운영비 50~100만 원, 학부모회 운영비 100만 원을 지원하고 180개 학교에는 학부모회실 설치비를 각 500만 원씩 지원한다. 또한 ‘학생참여예산제’를 시행해 모든 중·고등학교에 교당 200만 원씩 지원하고, 특히 ‘행정혁신 시범교육청 운영’ 사업에 총 2억 6,66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교육 불평등과 교육 격차의 해소

서울시는 지역별로 유치원의 입학 경쟁률이 편차가 큰 편이다. 이러한 불편을 제고하고 공공성을 확대하기 위해 올해 공립유치원 9개원 52학급을 신·증설하고, 학부모의 재정부담 경감과 사립유치원의 투명한 운영을 위한 ‘공영형 유치원’을 2개원 선정해 운영한다.

또한 일반고 전성시대 사업을 더욱 확대해 ‘개방-연합형 종합캠퍼스 교육과정’을 도입한다. 이 사업을 통해 개방형 교육과정은 15~20개교, 연합형 교육과정은 6권역 20개교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학교평등예산제’, ‘희망교실’ 프로젝트 등을 확대 운영해 정의롭고 따뜻한 서울 교육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민·관협치 3.0 구현’을 위해 ‘서울형혁신교육지구’를 통한 마을공동체 구축, 퇴직교직원의 사회공헌 활동을 실행하는 ‘교육인생이모작센터’ 등을 운영하며, ‘청렴시민감사관제’, ‘사전계약예고제’, ‘비리연루자 무관용 원칙’ 등을 통해 청렴하고 깨끗한 교육문화를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

■ 교총 "정치보다 교육에 집중해라"

한편, 한국교총(회장 하윤수)과 서울교총(회장 유병열)은 5일 서울시교육청의 '2017년 주요 업무계획'에 대한 합동 논평에서 "현실정치보다 현장교육 지원에 집중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조 교육감이 기자회견에서 현 정부 정책을 '박정희 패러다임의 복원'으로 표현하며, "촛불 시민혁명, 탄핵 이후 새로운 시대정신을 이어받는 교육혁신", "학생들을 '교복 입은 시민', 혹은 '학생시민'으로 육성하기 위한 기존 정책을 업그레이드하는 것", "학교운영위원회에 학생의 '참여권' 보장과 학생회의 독자적 활동 지원" 등의 발언에 대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엄격히 지켜야 할 교육감이 본인의 정치적 입장을 드러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교총은 "학부모회 지원 확대 정책이나 선거 연령 하향 발언 등은 선거용 정책"이라며 "'현실정치'보다 '현장교육 지원'에 더욱 집중하라"고 채근했다.

이어 "학교자율운영체제 선언보다 학교운영의 실질적 자율성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특히, '혁신학교·혁신지구 확대, 공모사업 학교선택제' 등은 돈으로 학교를 변화시키려는 제도"라고 비판했다.

대신 "학교 운영비, 교육환경·시설, 교원연수비 지원 확대를 통해 학교지원 및 내실화를 다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