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표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듣기를 할 때에는 말하기에 필요한 영역들이 거의 작동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듣기를 잘하는 것만으로는 말하기를 잘할 것으로 기대할 수는 없다. 듣기와 말하기는 작동영역에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박병태 교수 (엘에스에듀하스피틀 외국어감각개발연구원장)

박병태 교수는 자기주도(自己主導) 학습으로 중졸고졸대졸 검정고시를 거쳤고, 대학원 과정만 미국에서 정규학교를 다녔습니다. 법학과 행정학을 전공하였지만, 교육부에서 국가 영어교육정책을 총괄하고, 대학에서 영어를 지도할 수 있었던 것은, 영어 등 9개 외국어에 대한 비교언어학(比較言語學) 위주의 자기주도 학습과 연구 결과 덕분입니다. 나아가 15년 이상 언어의 습득과 사용을 주제로 뇌() 연구를 하여 다양한 영어학습과 영어교육 이론들을 개발하였습니다. 이곳에 연재되는 이론을 통해 영어 등 외국어를 학습하거나 교육하는 우리 국민들이 자신의 외국어 학습법이나 교육방식과 박병태 교수의 이론을 흥미롭게 비교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12. 영어로 듣고 이해를 잘하기만 해서는 영어로 말을 할 수 없다. (2)

지난번에 소개하였던 신문 기사에 의하면 미국 대학원에서 공부했던 한국 유학생들은 영어 듣기가 거의 완벽하지만 영어로 말을 할 수 없었고, 미국 현지에서의 박사학위 과정을 통해 장기간 매우 강도 높은 영어 사용 환경에 집중적으로 노출되었지만 영어 말하기 능력이 거의 향상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알아보기 위해서는 듣거나 말을 할 때 관련되는 영역들을 자세하게 살펴보아야만 한다. 듣고 이해할 때와 말을 할 때 우리의 뇌() 속과 뇌 밖의 언어정보 이동경로를 비교함으로써, 듣기를 할 때에도 말하기에 필요한 영역들이 충분히 활성화(活性化)되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만약 듣기를 할 때에는 말하기에 필요한 영역들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듣기를 잘하더라도 기대만큼 말을 잘할 수 없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1) 첫째, '영어로 듣고 우리말로 이해할 때' 뇌() 속과 뇌 밖에 어떤 영역(領域)들이 작동하는지를 언어의 뇌 그림과 언어정보 흐름도(flow chart)를 보면서 확인하기로 한다.

아래와 같이 우리가 영어문장을 소리로서 들을 때 소리정보는 귀를 통해 듣기중추(聽覺中樞)로 옮겨진다(). 듣기중추에서는 문장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 문장에 대한 소리정보를 이해중추(理解中樞)로 보낸다(). 이해중추가 문장의 뜻을 이해하는 기능을 완수하게 되면 언어의 뇌는 듣고 이해하는 과정을 모두 마치게 된다.

다음은 영어 문장을 소리로서 듣고 우리말로 이해할 때 뇌 속과 뇌 밖에서 이동하는 언어정보의 흐름을 보여주는 언어정보 흐름도이다.

우리가 “I want / to listen / in English.”(나는 원한다 / 듣기를 / 영어로)라는 영어문장을 소리로서 들을 때 그 소리 정보는 귀를 통해 듣기중추로 옮겨진다(). 듣기중추에서는 문장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 소리정보를 이해중추로 보낸다(). 이해중추에서는 I want to listen in English.라는 문장의 뜻을 나는 원한다 / 듣기를 / 영어로.’라고 이해하게 된다. 이해중추가 문장의 뜻을 이해하는 기능을 완수하게 되면 언어의 뇌는 듣고 이해하는 과정을 모두 마치게 된다.

 

(2) 둘째, '듣고 이해할 때'와 '말을 할 때' 우리의 뇌 속과 뇌 밖의 언어정보 이동 경로를 비교하기 위해 '영어로 말을 할 때' 뇌 속과 뇌 밖에 어떤 영역들이 작동하는지를 언어의 뇌 그림과 언어정보 흐름도를 보면서 확인하도록 한다.

아래와 같이 영어로 말을 하려고 하면 가장 먼저 이해중추에서 하고자 하는 말에 필요한 단어, 숙어, 문법 등에 대한 정보를 구성중추(構成中樞)로 보내게 된다(). 말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받은 구성중추는 의도한 말을 구성하여 발음중추(發音中樞)로 보낸다(). 발음중추에서는 구성중추로부터 받은 말을 소리정보로 바꾸어 뇌 밖에 있는 4대 발성기관으로 보낸다(). 발음중추로부터 말에 대한 정보를 받은 4대 발성기관인 후두․혀․턱․입술은 뇌 속에서 만들어진 말을 발음을 통해 소리로 바꾸어 주게 된다(). 그리고 4대 발성기관이 발음하게 되는 소리정보는 귀를 통해 자신의 듣기중추로 보내진다().

다음은 영어로 말을 할 때 뇌 속과 뇌 밖에서 이동하는 언어정보의 흐름을 보여주는 언어정보 흐름도이다.

우리가 ‘I want / to speak / in English.’(나는 원한다 / 말하기를 / 영어로)라는 말을 하려고 하면 단어, 숙어, 문법 등에 대한 언어정보를 저장하는 이해중추에서 그 말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구성중추로 보내게 된다(). 말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받은 구성중추에서는 ‘I want to speak in English.’라는 말을 구성하여 발음중추로 보낸다(). 발음중추에서는 구성중추로부터 받은 ‘I want to speak in English.’라는 말을 뇌 밖에 있는 4대 발성기관으로 보내어 [아이 완트 투 스피이크 인 글리쉬.]로 발음하게 한다(). 그리고 그 발음은 귀를 통해 자신의 청각중추로 보내진다(, ).

 

(3) 셋째, 영어 듣기를 잘하는 사람이 영어 사용 환경에 노출되었어도 영어 말하기 능력이 제대로 향상되지 않는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영어로 듣고 우리말로 이해할 때'와 '영어로 말을 할 때' 작동되는 뇌 속과 뇌 밖의 영역을 서로 비교하며 검토하여야 한다.

듣고 이해하는 방법으로 말을 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을 작동시킬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사실 확인은 아래와 같이 2가지 방법에 따른 뇌 속과 뇌 밖의 작동영역을 비교하여 보면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X자로 표시된 부분은 말을 할 때 작동되는 영역이지만, 듣고 이해할 때에는 작동되지 않는 영역이다.

위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듣기를 할 때는 듣기중추와 이해중추만 작동한다. 그런데 말하기를 잘하려면 듣기중추와 이해중추는 물론 구성중추와 발음중추 그리고 4대 발성기관인 후두···입술이 충분히 활성화되고 작동되어져야 한다.

아래와 같이 듣기를 할 때와 말하기를 할 때의 언어정보 흐름도를 비교하여 보아도 결론은 똑같다. X자로 표시된 부분은 말을 할 때 작동되는 영역이지만, 듣고 이해할 때에는 작동되지 않는 영역이다.

언어정보 흐름도에 의한 분석에서도 듣기를 할 때는 듣기중추와 이해중추만 작동한다. 그런데 말을 잘 하려면 듣기중추와 이해중추 외에도 구성중추, 발음중추, 4대 발성기관이 충분히 활성화되어야 함은 먼저 분석한 결과와 일치한다아래의 표에서도 듣기를 할 때에는 말하기에 필요한 영역들이 거의 작동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듣기를 잘하는 것만으로는 말하기를 잘할 것으로 기대할 수는 없다. 듣기와 말하기는 작동영역에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참고) 우리나라의 현행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2조제1항 및 관련 영문 법령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