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만으론 성공 못해, '교육과정'에 달려

 

 

“자유학기제의 도입 취지는 진로 탐색과 동아리 활동, 예술·체육 활동, 선택프로그램 활동으로 세분화돼 있지만, 도교육청은 오로지 진로 탐색만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일 경기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송낙영(새정치·남양주3) 경기도 의원의 지적은 자유학기제가 현장에서 겉돌고 있는 핵심을 제대로 짚고 있다. 진로탐색, 그 중에서도 체험활동에만 자유학기제의 쏠림현상이 심각한 것은 비단 경기도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적 현상이다.

자유학기제의 핵심은 물론 진로탐색이다. 그러나 진로탐색은 체험활동이라는 프로그램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자유학기제가 처음 도입된 2013년부터 이 논쟁은 계속되어 왔지만, 여전히 교육과정으로 자유학기제를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는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진로교육과 교과교육이 별개가 아니고, 인성교육과 교과교육 역시 별개가 아니다. 그러나 현장의 모습은 그렇지 못하다. 인성교육, 진로교육, 교과교육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운영되지 못하고 각각 따로 놀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교육정책 대부분이 교육과정이 아닌 프로그램으로 접근했기 때문이다.

자유학기제가 지향하는 수업은 크게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융합수업, 주제통합 수업과 학생 참여‧활동형 수업이다. 현장교사들에게 이런 수업을 위한 준비를 얼마나 되어 있는지, 성취평가를 얼마나 학생 개개인별로 잘 기록할 수 있는 지, 이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 지를 제대로 살피는 것에 성패가 달려 있다.

한 학기에 몇 번 체험활동을 나가는 것이 핵심이 아니라는 의미다. 즉, 일회성의 행사나 단순 견학 형태가 아니라 교과와 연계된 확장된 학습으로 체험활동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이어지느냐가 성패의 관건이라는 뜻이다.

교육부는 오늘 자유학기제 전면시행 계획을 발표하면서, 일반학기를 연계하는 교육과정 운영, 수업·평가 방식 개발 등을 위해 내년에 연구학교 80곳을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예산도 학교 당 2000만원씩 지원하겠다고도 했다.

그러나 일선학교는 자유학기제 운영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호소한다. 2000만원은 체험활동 2~3회 하기에도 모자란다는 것이다. 재정지원 중단에 대비해 교사들에게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을 고안하라는 주문을 한다는 소문도 들린다. 2016년 전면 시행까지 자유학기제 시행을 미루어 온 학교들이 얼마나 내실 있게 운영할 수 있을까를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그래서 과감하게 제안한다. 학교별로 지원되는 예산은 교사들이 다양하고 유연한 개별화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그간의 경직된 교육과정의 틀을 깨고 대한민국 교육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데 쓰라고 말이다. 왜냐고? 자유학기제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교육과정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