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천 교수, 충북교육청 교원임용시험 개선방안 연구 중간보고

[에듀인뉴스=지성배 기자] 교사 임용 2차 시험 출제를 전면적으로 교육청이 맡고 2차 시험 점수만으로 최종 선발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2차 임용시험에 대한 교육감 권한을 확대하는 내용의 입법을 추진하고 있어, 해당 보고서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다.

김성천 한국교원대 교수는 자신이 연구책임자로 진행한 ‘충청북도교육청 교원임용시험 개선방안’ 중간보고서 공개, 1차는 현행처럼 운영 하되 2차 면접과 실기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항을 사용하지 않고 충북교육청 차원에서 전면 자체 출제하자는 의견을 냈다.

보고서에서는 “초등은 공통문항이기 때문에 자체 출제가 어렵지 않으나 중등은 교과목별로 달라지기 때문에 자체 출제가 쉽지 않다”면서도 “교육청의 역량을 동원하여 자체 출제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허들형 방식’의 도입을 제안했다.

허들형이란 1차 합격자(1.5배수)를 대상으로 1차 시험점수를 반영하지 않고 2차 전형 점수만으로 최종 선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최종 선발은 2차 전형에 전적으로 위임하는 내용이다.

보고서에서는 “1차 시험은 상대평가 체제를 적용하면서 1.5배수~2배수로 1차 합격자를 발표한 후 2차 점수만으로 합격과 불합격을 정하자”며 “1차에서는 상대평가 방식 적용이 가능하고 2차는 변별력을 확실하게 갖고 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2차 시험 구성은 어떻게?...“공정성 확보가 화두”


2차 시험은 크게 수업과 면접 또는 수업실기 또는 교육과정-수업-평가 철학 및 성찰, 면접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면접의 경우 지역 교육정책 및 혁신교육/ 생활지도 및 학급 운영/ 인성 및 시민성, 자질 등으로 구성하고 특히 시간 대폭 확대 및 구상문항과 즉답문항 혼합 구성을 추천했다.

수업 실기는 유초중등에서 자체 출제를 하되 현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방식보다 단순하게 할 것을 제안했다.

2차 시험의 교육청 권한 확대 정책은 현재도 공정성 시비가 일고 있다. 특히 진보/보수로 나뉜 교육계의 사정을 볼 때 교육감의 성향에 따라 합격 여부가 좌우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다.

보고서도 이 같은 문제를 의식했는지 공정성 확보 방안을 제시, 전문성을 갖춘 평가관 위촉과 평가위원 간 선발철학 전문성 구축 및 공유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특히 ‘위촉 임용사정관제’의 방식으로 인력풀을 마련할 것을 제안, 충북 임용고사에 관한 평가 철학 및 방법에 관한 연수를 받은 교원을 중심으로, 평가관 풀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평가위원은 4세트 12명으로 구성, 모든 위원에게 분산해서 평가 받는 방식을 추천했다.

연구책임자인 김성천 한국교원대 교수는 “충북  현장 교사와 예비교사 1171명 설문을 진행했더니 임용고사에 많은 문제가 있어 일정하게 바꿔나가면서도 공정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특히 면접관의 역량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임용고사가 교사대 교육과정과 맞지 않아 예비교사들 대부분 사교육을 받고 있다”며 “현장 요구 역량과 임용고사가 요구하는 역량의 차이가 너무 크다. 바꿔야 한다는 요구가 큰 만큼 현장에 적합한 역량을 평가하는 임용고사로의 변모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고서 설문조사에 따르면, 84.9%가 현재 교원 임용시험 제도개편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78.1%는 현 교원 임용시험이 지나치게 지식 중심 방식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89.8%는 2차 면접 평가를 현장 중심으로 바꿔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으며 70.7%는 1차 지필 고사가 최종 합격에 미치는 비중을 줄이고, 2차 면접 및 실기 비중을 높이는 것에 동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