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인뉴스=지성배 기자] “(혁신학교를 둘러싼) 현재의 반론들은 실패의 위기가 아니라 성공의 위기라고 본다. 규모 확대에 따른 새로운 도전이다. 일반화 되고 한 단계 더 가야 한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이 경원중 모델인 마을결합혁신학교를 자치구당 2개교 총 50개교 신규 지정하겠다는 계획과 함께, 논란에 대해 공개석상에서 처음으로 언급했다.

조 교육감은 5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혁신학교 학력 저하에 대한 오해는 과거 학력관에 기초한 것”이라며 “혁신성이 우리 교육정책과 혁신 교육에 영감을 준만큼 일반화 되고 한 단계 더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21 업무보고 자료를 통해 ▲교육지원청 중심 혁신교육 확산 방안 모색 및 사례 공유 ▲교원·학부모 연수 ▲홍보를 위한 사례집과 카드뉴스 등 제작 배포 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과연 이 정도로 학부모나 지역 주민에게 혁신학교 정책이 제대로 이해되고 도달할 수 있을까.

실제 경원중의 경우 가정통신문을 통한 학부모 의견 수렴에서는 전체 981명 중 215명이 반대했지만, 논란 이후에는 806명이 반대 입장을 전달해 그 차이가 컸다. 즉 학교 e알리미 등을 학부모가 세세하게 체크하지 않는 게 현실이다. 

서울시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홍보는 여전히 공급자 중심 사고에 머무르고 있다고 평가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서울시교육청은 "마을결합혁신학교는 학생, 학부모, 교원, 지역사회 주민이 함께 학생의 행복한 성장을 위해 서로 협력하는 학생 친화 학교이자 지역사회 친화 학교"라고 설명한다.

지역 친화 학교를 내세웠지만 학부모와 지역 주민의 반대에는 부동산 하락이라는 프레임을 씌워 주민들을 고발했다. 지역은 어디에 있고, 주민은 어디에 있는지 물어볼 대목이다.

혁신학교와 부동산 가치의 상관관계에 대한 입증 자료는 어디에도 없을 뿐만 아니라 학력 문제를 명시적으로 드러낸 연구도 갑론을박이 진행 중이다. 명확히 입증할 수 없음에도, 행위에 나서는 것은 한 면만을 취사 선택한 것은 아닌 지, 의문을 제기할 수 밖에 없다. 

마을결합형 혁신학교를 확대하고 일반화 한다면서 드러난 문제에 대한 구체적 대안은 내놓지 않는다는 것은, 교육청이 재논란을 만들 빌미를 주고 있는 것과 다르지 않다.

경원중 사태에서 문제로 지적된 ‘교원의 50%가 혁신학교 지정에 동의하면 학부모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학운위 의결을 통해 신청이 가능한 상황’에 대한 개선책 등은 업무보고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어찌보면 서울시교육청조차 마을형혁신학교 의견 수렴 절차를 어떻게 밟아야 할 지 우왕좌왕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다문화 학생이 많은 학교의 경우 우리 말에 어색한 학부모 참여율을 낮을 수밖에 없다. 또 학부모는 원하지만 학교에서 원치 않는 경우도 있다”며 “교원과 학부모 양측 의견이 모두 소중하지만 모두 일정 비율 이상을 의무화할 경우 의도치 않게 좌초할 가능성도 있어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스스로 딜레마에 빠진 것을 시인하는 발언 아닌가.

지역사회 주민과 함께 하겠다고 준비한 마을결합혁신학교, 취지가 좋아도 반대 여론이 있다면 정책을 설명하고 의구심을 덜어내야 하는 책임은 정책 추진자에게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재된 갈등을 그대로 둔채 혁신학교 지정은 늘리겠다고 발표하는 것은, 지난해와 같은 갈등과 논란을 올해도 계속하겠다는 것으로 밖엔 보이지 않는다.

조희연 교육감의 말대로 혁신학교 논란이 실패가 아닌 성공의 위기가 되기 위해서는, 경원중 사태를 반면교사(反面敎師) 삼는 겸손함을 보여줘야 한다.

조희연 교육감의 말을 다시 돌려준다. "정말, 현재의 반론들이 실패의 위기가 아니라 성공의 위기인가. 규모 확대에 따른 새로운 도전인가. 아니 규모는 왜 확대해야 하는가. 혁신학교가 한 단계 더 나가야 하는 것과 일반화는 전혀 다른 문제 아닌가.”

지성배 에듀인뉴스 기자
지성배 에듀인뉴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