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好 感 (호감)*좋을 호(女-6, 4급) *느낄 감(心-13, 6급) ‘조금만 이야기를 나눠 보면 누구나 그녀에게 호감을 가질 것이다’의 ‘호감’은? ①好減 ②好感 ③好甘 ④好監. 답인 ‘好感’에 대해 요모조모 위아래를 알뜰살뜰 살펴보자. 好자는 ‘아름답다’(beautiful)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여자[女]가 아이[子]를 품에 안고 있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여자가 가장 아름답게 보일 때는 바로 자기의 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이라고 생각하였나 보다. 후에 ‘좋다’(good) ‘좋아하다’(love) ‘퍽’(very much) 등
◎ 增 强 (증강)*더할 증(土-15, 5급) *강할 강(弓-12, 7급) 사람의 도리를 다해야 사람 대접을 받게 된다. 하물며 사람의 도리를 잊으면 되랴! 먼저 ‘군사력 증강에 힘쓰다’의 ‘증강’은? ①憎强 ②贈强 ③增强 ④曾强. 답인 ‘增强’에 대해 알뜰살뜰 살펴본 다음에 사람의 도리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관한 명언을 찾아본다. 增자는 ‘(흙을) 돋우다’(rais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흙 토’(土)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曾(일찍 증)은 발음요소다. 후에 ‘늘어나다’(increase) ‘더욱’(more) 등으로 확대
◎ 報 告 (보고)*알릴 보(土-12, 5급) *알릴 고(口-7, 6급) ‘I have received no report on that matter.’는 ‘그 일에 관해 아무런 ○○도 받지 못했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報答 ②報酬 ③寶庫 ④報告. 답인 ‘報告’란 한자어를 샅샅이 훑어보자.報자는 ‘흙 토’(土)가 부수이지만 의미와는 무관하다. 범인의 발이나 손에 채우던 ‘차꼬’를 본뜬 幸(행)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그 나머지는 꿇어앉은 죄인을 잡고 있던 모습이 변모된 것이다. ‘(죄에 대한 형벌에) 복종하다’(obey)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
◎ 城 壁 (성벽)*성곽 성(土-10, 5급) *담 벽(土-16, 5급) 여러 사람이 한마음 한뜻이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 그런 뜻이 속에 담겨 있는 중국 속담을 소개해 본다. 먼저, ‘성문 안쪽에는 절벽 같은 성벽이 기다랗게 도시를 에워쌌다’의 ‘城壁’이란 한자어어를 속속들이 알아본 다음에!城자는 ‘흙 토’(土)가 부수이자 의미요소로 쓰였고, ‘이룰 성’(成)은 의미와 발음을 겸하는 요소다. 흙으로 이루어진 성, 즉 ‘土城’(토성, mud rampart)이 본뜻인데, ‘(성을 쌓아 둘러막아 놓은) 큰 도시’(big city)를
◎ 圓 滿 (원만)*둥글 원(囗-13, 5급) *찰 만(水-14, 5급) “군자는 ○ 느긋하며 너그럽고, 소인은 ○ 근심으로 지새운다.” 공란에 들어갈 공통적인 말은? 먼저, ‘그들의 가정생활은 원만하다’의 ‘圓滿’에 대해 속속들이 풀이해 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 圓자는 ‘둥글다’(round)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둥근 솥을 가리키는 員과 둥근 테두리 모양이 변화된 ‘囗’(위)를 합쳐 놓은 것이다. 員(원)은 발음요소도 겸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가 있는 셈이다. 圓자는 ‘(물이 가득 차서 흘러) 넘치다’(ov
◎ 凶 器 (흉기)*흉할 흉(凵-4, 6급) *그릇 기(口-16, 5급)“옥돌은 다듬지 않으면 ○배가 안되고,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리를 모른다.” 공란에 들어갈 말은? 먼저 ‘자동차를 달리는 흉기라고도 한다’의 ‘凶器’에 대해 샅샅이 훑어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 凶자는 ‘재수 없다’(be out of luck)는 뜻을 적기 위하여 뜻밖에 함정[凵]에 빠진 것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는 빠진 상태를 가리키는 부호일 따름이다. 후에 여러 가지 ‘재앙’(disaster)이나 ‘잘못됨’(fault)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器
◎ 霜 楓 (상풍)*서리 상(雨-17, 3급) *단풍나무 풍(木-13, 3급) 초목이 시든다고 우리네 마음도 시들면 안 된다. ‘상풍이 북풍에 흩날려 떨어졌다’의 상풍은? ①丹楓 ②風霜 ③星霜 ④霜楓. 답인 ‘霜楓’에 대해 차근차근 뜯어보자. 霜자는 ‘서리’(frost)를 뜻하는 것인데 ‘비 우’(비)가 의미요소로 쓰인 것은, 당시 사람들은 서리를 비의 일종으로 보았기 때문인 듯. 相(서로 상)은 발음요소일 따름이니 뜻과 연관지어 봤자 헛일이다.楓자는 ‘단풍나무’(maple)를 뜻하기 위한 것이었으니 ‘나무 목’(木)이 의미요소로
◎ 單 純 (단순)*홑 단(口-12, 5급) *순수할 순(糸-10, 5급) ‘Don’t take the situation simply and easily.’는 ‘그 사태를 ○○하게 생각하지 마라!’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單純 ②簡便 ③容易 ④丹脣. ‘單純’이란 두 글자는?單자는 Y자형 나무 가지 끝에 돌을 매달아 만든 무기의 일종을 일컫는 것이었음은 戰(싸울 전)의 의미요소를 통하여 증명할 수 있다. 그런데 후에 이 글자는 ‘홑’(single) ‘단지 하나’(only one) ‘홀로’(alone) 같은 차용 의미로만 사
◎ 團 員 (단원)*둥글 단(囗-14, 6급) *사람 원(口-10, 5급) 대통령이 되고 싶은 사람이라면 미리 알아두어야 할 명언이 참! 많다. 먼저 ‘이 교향악단은 교수 추천이나 실기를 통해 단원을 뽑는다’의 ‘團員’에 대해 익힌 다음에 그 가운데 하나를 소개해 본다. 團자는 ‘둥글다’(round)는 뜻을 적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囗’(에워쌀 위)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專(오로지 전)이 발음요소임은 摶(뭉칠 단)의 경우도 그렇다. ‘(둥글게) 모이다’(gather in a ring) ‘모임’(party) 등으로도 쓰인다.員자
지난해(2024년) 우리나라 국립암센터가 발표한 연구자료에 의하면 2022년 기준 암 발생 상위 11개 국가는 위의 표에서 보는 것처럼, 지상낙원이라고 하는 국가들을 포함하여, 가장 대표적인 선진 국가들이다. 인구 10만 명당 암 환자 수는 1위 호주 462.5명, 2위 뉴질랜드 427.3명, 3위 미국 367.0명, 4위 캐나다 345.9명, 5위 프랑스 339.0명이고, 우리나라는 8위로 287.0명이다. 11개 국가의 식생활에 관한 문화, 국민소득, 의료기술 등을 국가별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호주의 식문화는 영국
◎ 呼 出 (호출)*부를 호(口-8, 5급) *날 출(凵-5, 7급) 급하거나 아플 때 누구를 부르시나요? 먼저 ‘엄마는 아버지의 호출 전화를 받고 기뻐 어쩔 줄 몰라 했다.’의 ‘呼出’에 대해 샅샅이 속속들이 알아본 다음에 관련 명언을 찾아보자.呼자는 입 밖으로 내 쉬는 숨, 즉 ‘날숨’(expiration)을 뜻하기 위한 것이니 ‘입 구’(口)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乎(호)는 발음요소이니 뜻과는 무관하다. 후에 ‘부르다’(call) ‘부르짖다’(clamor)는 뜻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出자는 산(山)이 겹쳐진 것으로 보기 쉬운데
◎ 吸 引 (흡인)*빨 흡(口-7, 5급) *끌 인(弓-4, 5급) 세상인심의 야박함을 토로한 당나라 때 한 선비의 푸념을 들어보자. 먼저 ‘그의 말은 왠지 모를 야릇한 흡인력이 있다’의 ‘吸引’에 대해 샅샅이 뜯어본 다음에! 吸자는 ‘입 구’(口)가 의미요소이고, 及(미칠 급)은 발음요소인데 음이 약간 달라졌다. ‘들여 쉬는 숨’(inhalation)이 본래 뜻인데, 후에 ‘들이키다’(inhale) ‘빨아먹다’(suck)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引자는 ‘(활줄을) 당기다’(draw)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활 궁’(弓)이 의미요소로
◎ 受 驗 (수험)*받을 수(又-8, 5급) *시험할 험(馬-23, 5급) 썩 영리하고 재주가 있음을 일러 ‘총명’이라 한다. 총명은 타고 나는 것일까? 아니면 후천적인 노력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일까? 먼저 ‘코피를 쏟아 가며 수험 공부를 해 온 유일한 목적이....’의 ‘受驗’을 풀이해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 受자의 원형은 나루터에서 조각배 위에 실어 놓은 물건을 주고받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주고받다’(give and receive)가 본뜻이다. 후에 이것은 ‘받다’(receive)는 의미로만 쓰이고, 따로 授(수)자를 만들
◎ 取 消 (취소)*가질 취(又-8, 5급) *사라질 소(水-10, 6급) “한 사람을 ○어서 천하를 도모할 수 있고, 한 사람을 ○어서 나라가 위험할 수 있다.” 공란에 들어갈 말은? 일단, ‘강연 취소/예약 취소/훈련 취소’의 ‘取消’에 대해 구석구석 샅샅이 살펴본 다음에 답이 있는 명언을 소개해 본다. 取자는 전쟁에서 무찌른 적군의 왼쪽 귀[耳] 떼어서 손에 쥐고 있는[又] 모습을 통하여 ‘가지다’(take)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쥐를 잡아 그 꼬리를 떼어 오던 60년대 초등학교 때의 숙제가 연상된다. ‘얻다’(obtain)
◎ 協 議 (협의)*힘 합할 협(十-8, 5급) *의논할 의(言-20, 5급) “공적인 일은 사사로이 ○○로 의논하는 법이 아니다.” 공란에 들어갈 말은? 먼저, ‘이 안(案)은 여러 차례 협의 끝에 마련한 것이다’의 ‘協議’에 관해 공부한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 協자에는 힘이 많이 든다고 ‘힘 력’(力)자 세 개나 들어 있고, 그것도 모자라서 ‘많다’는 뜻으로 ‘열 십’(十)자까지 합쳐져 있다. 力은 농기구의 일종인 쟁기를 본뜬 것이다. ‘힘을 합치다’(cooperate)는 뜻을 여러[十] 사람들이 힘[力]을 합쳐 밭을 가는 모습
◎ 事 務 (사무)*일 사(亅-8, 7급) *일 무(力-11, 5급) ‘On Sunday no business is transacted.’는 ‘일요일에는 ○○를 보지 않음’이란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私務 ②工務 ③事務 ④雜務. 답인 ‘事務’에 대해 차근차근 살펴보자. 事자는 붓을 들고 사무를 보던 모습을 그린 것으로 ‘사무’(business)가 본뜻이다. 옛날 관리들의 사무는 곧 임금을 섬기는 일이었으니, ‘섬기다’(serve one’s master)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務자는 ‘(일을 하는데 온힘을) 다 쏟다’(